의학공부 13

[지식]비염-2 급성비부비동염

앞서 비염-1에서 다뤘던 감염성 비염(infectious rhiintis)에 대한 내용이다.  급성비부동염을 다루기에 앞서 정상 부비동의 생리에 관여하는 3가지 주요 요소를 먼저 이야기해보고자 한다. ①자연공의 개방②섬모의 기능③분비물의 성상이중 자연공의 개폐여부가 부비동염 발생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, 급성부비동염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또다른 인자는 감염이다.  급성비부동염의 증상으로는 비폐색, 비루, 후비루, 안면 및 침범된 부비동 부위의 동통과 압통이 있으며, 이 동통이 급성 비부비동염의 가장 주된 증상이다.  부비동 CT는 부비동 점막의 병변과 부비동의 해부학적 구조를 잘 보여주며, 합병증이 있거나 의심될때, 충분한 약물치료 후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때,종양이 의심될 때, 수술이 필요하다고 판단..

의학공부 2024.08.04

[지식] 비염-1 Non-allergic rhinitis

-Rhinitis는 비 점막의 염증을 말하며, 전 or 후비루, 재채기, 비폐색, 소양증과  같은 코증상을 갖는다.  크게 allergic rhinitis와 non-allergic rhinitis로 구분된다.  - Non-allergic rhinitis는 allergic rhinitis의 범주에 해당하지 않는,  원인이 밝혀졌거나 밝혀지지 않은 비염 전부를 포괄적으로 일컫는다.    원인 및 병태생리학으로는 자율신경계의 불균형,  밝혀지지 않은 항원에 대한 알레르기  정신 신체장애 등이 주요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으나  그중 자율신경계의 불균형이 가장 유력한 학설로 인정받고 있다.   2008년 ARIA 가이드 라인에 따라 non-allergic rhinitis의 분류를  확인해보자.  1. 감염성 비염 ..

의학공부 2024.08.04

[통계]닥터배의 술술 보건의학통계를 읽으며 -1

1. 순위 척도(범주형자료에 속함)와 연속형 자료를 잘 구분하자. : 평균을 낼 수 있냐 없냐로 구분할수 있다. ex> 2학년과 4학년의 평균은 3학년이 아니듯 학년은 순위척도이다. 28도와 30도의 평균은 29도 이듯이 연속형 자료이다. 2. p(유의확률)의 의미 : 보건의학연구론은 효과의 차이가 없다는 '귀무가설'을 기본으로 한다. 귀무가설(H0) : 효과(혹은 차이)가 없다. 대립가설(H1) : 효과(혹은 차이)가 있다. p위에 써둔 말과 아래에 써둔 말이 서로 연결이 되지 않는 느낌을 받는다. 위에 써둔 말은 p

의학공부 2024.07.31
반응형